본문 바로가기

주식 매도 후 언제 출금 가능할까 에 대한 해답

반응형

누구나 한 번쯤 실수하는 부분이 주식 매도 후에 출금 가능한 시간입니다. 멋모르고 주식을 시작할 때 내 주식계좌에 있던 돈이 출금되지 않아 당황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이에 대한 해답을 찾으면서 예수금이란 걸 알게 되었고 또한, 영업일에 대한 개념을 완전히 이해하게 되었습니다.

[[나의목차]]

주식매도후 출금가능일
주식매도후 출금가능일

주식 매도 후 언제 출금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주식 매도 후 정확히 3 영업일에 매도한 금액을 출금할 수 있습니다. 매도 후 3일째가 아니고 왜 3 영업일이라고 하는지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예수금에 대한 이해

우선 예수금에 대해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이유는 모든 증권사에서는 고객이 주식계좌에 이체한 돈과 투자가능한 금액을 예수금이라고 정하였기 때문입니다.

 

예수금은 예수한 금액 즉, 어떠한 목적으로 일시적으로 예수 하였다가 나중에 현금으로 돌려주는 금액으로 금융법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연관용어로 증거금, 미수금등이 있습니다.

D+1과 D+2에 대한 이해

각 증권사마다 예수금 화면을 보면 D+1 금액과 D+2 금액이 다른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D+1과 D+2의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것은 시기와 상관없이 주식 매수가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그러면, 왜 D+1, D+2로 나눌까요?

 

D+1은 영업일 기준 1일이 지나야 출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이 월요일이라면 내일 화요일에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이 금요일이라면 다음 주 월요일에 출금할 수 있습니다. (휴일이 아닐 경우) D+2는 영업일 기준 2일이 지나야 출금할 수 있습니다. 오늘이 월요일이라면 내일 화요일에 찾을 수 있고, 오늘이 목요일이라면 다음 주 월요일이 되어야 돈을 찾을 수 있습니다.(토, 일 이외에 휴일이 없어야 합니다.)

영업일은 주식 장이 열리는 날로 이해하면 됩니다.

 

왜 3 영업일 후에 찾을 수 있을까?

우리가 주식을 매도하게 되면 증권회사는 거래소에 우리가 제시한 호가를 전송하고 거래 체결을 하게 됩니다. 이때 결제자료는 정보단말기를 통해 주가감시와, 결제가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결과를 다시 증권회사로 전송, 투자자에게 체결통보를 알리게 됩니다. 이렇듯 체결통보는 아주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지만 그 과정에 있어 증거금이란 것이 중간에 관여합니다.

증거금이란?

증거금은 예수금에 대한 보증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즉, 주식거래 시 1차적으로 예수금에서 돈이 빠져나가는 것이 아니라 예수금에 대한 보증금(증거금)의 비율만 납부하여 매수가 가능하게 만든 시스템입니다.

 

주식 매수할 때 증거금률을 보셨을 겁니다. 예를 들어 증거금률이 20% 일 경우 10만 원짜리 주식 1주를 2만 원에 매수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주식 매도 후 출금 가능한 날 - 요일별 정리

마지막으로 주식 매도 후 출금 가능한 날을 요일별로 정리하고 마무리하겠습니다. 여기에 조건이 하나 붙는데 휴일(주식시장이 열리지 않는 날)은 토/일 뿐이라는 전제하에 내리는 결론입니다. 중간에 휴일이 끼면 그 날짜만큼 미뤄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월요일 매도 시 출금 가능한 날 ▶ 수요일
  • 화요일 매도 시 출금 가능한 날 ▶ 목요일
  • 요일 매도 시 출금 가능한 날 ▶ 금요일
  • 요일 매도 시 출금 가능한 날 ▶ 다음 주 월요일
  • 요일 매도 시 출금 가능한 날 ▶ 다음 주 화요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