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세 상승장 에서의 올바른 투자자의 자세 대세 상승장에서 투자자의 올바른 자세 이 글을 쓰는 지금은 대세 상승장이다.(...이라고 한다.) 물론 몇 개월 전에는 대세하락장(사실 이 말은 잘 쓰지 않는다. 이유는 마지막에...)이었다. 사실 개인적인 견해로는 대세 상승 장이라기보다는 과열장이라고 말하고 싶다. 여기저기에서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고 즐거운 비명들이 쏟아진다. 요즘은 계좌오픈(계좌 까기)이 대세라서 인증샷도 빠짐없이 올라온다. 지금 주식 갤러리는 흥분의 도가니다. 아, 물론 내 계좌도 덕분에 잔칫집 분위기이긴 하다. 언론에서도 커뮤니티에서도 너도나도 주식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가까진 지인도 얼마 전 주식투자를 시작했다고 한다. 마치 집단적 포모 증후군이라도 퍼진 것 같다. 상승장 뒤엔 항상 하락장이 뒤따른다. 하지만 대세 상승장 뒤에..
주식매매 실패의 원인 - 조급증과 매매중독증 이 글과 함께 보면 좋은 글 장기투자의 잘못된 개념 손절의 함정 적정가 공식 얼마나 신뢰하나? 주린이의 포모증후군 - 매매기술보다 심리 주식투자 실패의 원인 나의 경우 매수가, 매도가 설정 그리고, 매매할 종목을 고를 때 긴 시간을 투자하지 않는다. 무엇보다 치밀하고 광범위한 정보와 자료를 취합해 분석해야 하는 게 주식투자임에도 불구하고 가능하면 짧게 시간을 가지는 데는 이유가 있다. 나도 처음에는 주식투자에 완전히 매료되어 틈나는 대로 책을 읽고 칼럼도 찾아 읽고 다른 투자자의 매매기법에도 관심이 많아서 직장인이었지만 잠자는 시간을 줄여가며 주식투자 공부에 매진했었다. 물론 지금도 주식투자는 나에게 매력적이고 좋은 친구임에는 틀림없다. 수익을 내야 한다는 조급증은 기본이었고 한 종목이라도 매매하지 않으..
기술보다 심리를 신뢰하는 현명한 투자자 feat.포모증후군 주식투자를 오랫동안 하다보니 주식차트를 읽는 시간 보다 투자자의 심리를 파악하는데 점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것 같다. 세력의 심리, 증권사의 심리 그리고, 개미투자자의 심리. 주식의 가치는 기업의 가치에 비례해야 하는게 마땅하지만 현실은 절대 그렇지 않다는 사실은 경험과 학습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주식의 가치를 끌어올리거나 내리는 건 외부적인 요건이 절대적으로 지배한다. 기업의 존재와 실적은 단순히 주식투자를 위한 명분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달은 투자자라면 오늘 이야기에 쉽게 반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주식투자를 시작하지 얼마되지 않은 초보투자자라면 투자의 매매기술을 익히는 것 보다. 주식시장의 심리적인 면을 더 많이 보도록 권유하고 싶다. 오죽하면 이 세계를 무림이라고 표현하고..
적정가를 찾자 - '적정가 구하는 공식'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 적정가 구하는 공식 신뢰할 수 있을까? 차트를 보면 유난히 급등과 급락이 잦은 종목을 볼 때가 있다. 단순히 생각하면 '그럴만한 이유가 있으니까' 오른 것이긴 하다. 하락도 마찬가지다. 한마디로 급등과 급락은 현재 종목의 적정가는 절대 아니라는 말이다. 물론 급락 후에 그것으로 인해 이전과 다른 주가가 장기적으로 형성되기는 하지만 그런 경우 급등락의 근본적인 원인에 있기 때문에 공시나 뉴스 그리고, 거래량 등을 보면 대략적인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아, 물론 하루 이틀 만에 되는 건 아니니 시간 날 때마다 차트 보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란다. 적정가에 대한 소신을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다. 적정가를 공식에 의존하시는 투자자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란다. 물 위에 뜬 공 나는 적정주가를 '물 위에 뜬 공'으로..
반응형